슈틸리케 감독은 이기는 것보다는 지지않는 게 더 중요한 문화, 바로 책임을 회피하려는 축구계 문화가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어서 장치혁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<br />[리포트]<br />축구대표팀은 최근 8경기에서 겨우 6골을 넣었습니다. 이렇다할 골잡이가 없습니다. 슈틸리케 감독은 한국 지도자들의 스타일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(슈틸리케 / 전 축구대표팀 감독) <br />"내 철학은 싸워서 이기는 것이었지만 한국 코치들은 수비적인 전술을 지향했어요. 내 생각은 공을 점유하는 것이었고 한국 코치의 생각은 공을 막는 것이었습니다." <br /><br />어릴 적부터 팀성적에 매몰된 한국의 축구풍토에서 모험을 시도하는 창의적인 공격수 탄생이 어렵다는 지적입니다. <br /><br />(슈틸리케 / 전 축구대표팀 감독) <br />"해외 나간 선수 중 대부분이 수비수입니다. 공격수는 없습니다. 교육, 포메이션(위치), 생각이 수비에서 시작하기 때문입니다. 한국은 0-0을 지향합니다. 잘 조직돼 있지만 창의력이 부족합니다. 자유가 주어질 때 어떻게 사용할 줄 몰라요." <br /><br />실제로 실력을 인정받아 해외로 진출한 한국선수 중 공격수는 전체의 14%에 불과합니다. <br /><br />(슈틸리케 / 전 축구대표팀 감독) <br />"이동국이 아직 뛴다고 들었어요. 서른 여섯, 서른 일곱인가요?" <br />"서른 여덟입니다." <br />"그게 한국의 문제입니다. 이동국을 능가하는 젊은 선수가 없어요." <br /><br />하지만 반론도 만만찮습니다. <br /><br />대표팀 관계자는 슈틸리케 감독이 한국 코치의 의견을 자주 청취하지 않았고 슈틸리케 감독의 점유율 축구 자체가 후방에서 볼을 점유하는 수비적 전술이었다고 지적합니다. <br /> <br />슈틸리케 감독은 한국에서 결과적으로 실패했지만 그가 한 쓴소리들은 귀담아들을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. <br /> <br />채널A 뉴스 장치혁입니다. <br /> <br />장치혁 기자: jangta@donga.com <br />영상취재: 송 민 <br />영상편집: 조성빈